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해외선물옵션 투자방법 초보자 완벽정리

반응형

 

해외선물이란?

상품의 미래 가치 변화를 예측하는

투자 상품입니다.

예를들면

A의 가격 혹은 지수가 현재는 10,000인데 3달뒤에는 20,000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현 시점에서 10,000이라면 3달뒤에는 20,000이 될 테니 지금 10,000에 사 놓으면 3달뒤에 20,000이 되었을 때 10,000의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사실 이렇게만 보면 주식이랑 별 차이가 없습니다. 주식도 현재 내가 산 가격보다 몇일 혹은 몇 달 뒤 주식가격이 오를것을 기대하고 투자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주식과 선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구별됩니다.

 

 

용어정리

 

증거금 : 해외선물거래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예치금

위탁 증거금 : 1계약 진입에 필요한 금액

유지 증거금 : 계약 유지를 위해 필요한 금액

 

틱 가치(Tick value) :

   - 틱은 가격이 변동되는 상품별로

     정해진 폭을 말함

   - 미니 나스닥 기준 틱 가치는 $5입니다.

 

틱 사이즈(Tick size)

   - 한 틱에 해당하는 사이즈

   - 미니 나스닥 기준 틱 사이즈는 $0.25

   - 호가창에서 한 호가에 0.25씩 입니다.

 

로스컷

   - 반대매매라고도 하며 증권사가 계약을

     자동 청산하는 것

   - 위탁 증거금이 유지 증거금 이하로

      떨어지게 될 경우 발생

   - 자세한 내용은 아래 증거금 내용 참고

 

매수() 포지션 :

   - 지수/가격 상승에 투자하는 것

매도() 포지션 :

   - 지수/가격 하락에 투자하는 것

 

 

 

 

해외선물옵션의 특징

월물/만기

선물은 시간경과에 따른 만기가 존재합니다.

나스닥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분기마다 만기가 도래하게 되는데 만기 도래 시 내가 가지고 있던 계약이 자동으로 청산됩니다.

계약당시 지수가 오를것으로 기대하고 상승에 투자했는데 만기 도래 시 지수가 낮아졌다면 손해를 보는 중인데도 불구하고 자동 청산되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대부분의 해외선물옵션 투자자들은 단타로 투자를 진행하기에 별로 신경쓰지 않아도 될것 같습니다.

 

 

해외선물옵션 종목 및 만기일

 

 

위 그림과 같이 나스닥 100의 경우 3, 6, 9, 12월이 만기임을 알 수 있으며

종목별 코드읽는 법도 나와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매수()/매도() 포지션(양방향 투자가능)

선물옵션의 가장 큰 특징이자 주식과 차별되는 점은 매도, 매수 포지션입니다.

주식의 경우 현재 가치에서 상승했을 때에만 수익을 볼 수 있는 구조이지만 해외선물옵션의 경우 현 가치에서 상승 했을 때 혹은 하락 했을 때 모두 수익을 볼 수 있습니다.

 

매수() 포지션 :

  - 현재 지수/가격 보다 상승 포지션에 투자

                                        -> 상승 시 수익

매도() 포지션 :

  - 현재 지수/가격 보다 하락 포지션에 투자

                                       -> 하락 시 수익

 

주식은 항상 내가 산 가격에보다 가격이 높아져야만 수익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 악재가 발생하는 경우나 코로나와 같은 악재가 발생할 경우 손실을 볼 수 밖에 없으며 그 상황에서 수익을 내기가 매우 힘듭니다.

하지만 이때 선물로 하락 포지션에 진입했다면 매우 큰 돈을 벌 수 있었겠죠.

이렇듯 주가 상승 시기 뿐만 아니라 하락시기에도 투자를 계속 진행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증거금

해외선물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증거금이 필요합니다.

증거금은 다시 위탁증거금과 유지증거금으로 나뉘는데요.

위탁증거금은 해외선물투자상품 1계약을 하기 위해 필요한 금액입니다.

미니 나스닥선물을 기준으로 보면 위탁 증거금이 19,470입니다.

달러이기 때문이 환율 1300으로 계산하면 25,311,000원입니다.

꽤 많은 금액이 필요하죠. 2500만원이 있어야 1계약을 할 수 있는겁니다.

2계약을 하고 싶으면 두배인 약 5000만원이 있어야 겠죠.

유지증거금은 말 그대로 1계약을 진행하였을 때 이 계약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 금액입니다. 미니 나스닥 기준으로 유지증거금은 17,700으로 약 2300만원입니다.

만약 투자를 진행하다가 유지증거금 이하가 될 경우 진행된 계약은 그 시점에 강제 청산이 되고 손실을 입게 됩니다.

 

요약하자면

위탁증거금 : 1계약에 필요한 금액

       (미니 나스닥기준 약 2,500만원)

유지증거금 : 1계약을 유지하기 위한 금액

       (미니 나스닥 기준 약 2,300만원)

 

쉽게 설명하자면 1계약에 2,500만원을 투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2500만원으로 1계약을 매수 포지션()으로 진입했고 진입당시 지수는 17,000이라고 합시다.

이후 지수가 16,900으로 100포인트 떨어질 경우 내 투자금은 2500만원에서 약 2240만원으로 가치가 하락하게 됩니다. 이때 유지증거금인 2,300만원보다 낮아지게 되었으므로 계약을 유지할 수 없게 됩니다. 이때 증권사에서 내 계약을 강제 청산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되면 저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고스란히 260만원정도를 손해를 입게되며 이후 다시 1계약 주문을 하고 싶어도 위탁증거금이 모자라기 때문에 더 이상 거래를 할 수 없게 됩니다.(이렇게 강제 청산되는 것을 로스컷이라 합니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명시된 위탁증거금은 2,500만원이지만 이보다 더욱 많은 금액을 증거금으로 가지고 있어야 저런 상황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미니 나스닥 차트를 보시면 변동성이 매우 심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00포인트 이상 떨어졌다가 다시 금세 오르기도 하는데 이때 유지증거금 밑으로 떨어졌다가 빠르게 다시 회복할 수 있는 상황인데도 증거금이 모자라 강제 청산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증거금이 필요하다는 얘기입니다.

 

하지만 증권사에서 무조건 강제청산을 하는 것은 아니고 마진콜이라고 해서 증거금이 모자라니 채워 넣으라는 전화가 오기도 하는데 이는 개인이 설정하는 것, 증권사마다 약간씩 다르다고 하니 사용하시는 증권사의 규정을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각 증권사 고객센터에 문의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미니 나스닥 차트

 

위 차트에서 빨간색 동그라미 부분에서 롱 포지션으로 진입했을 경우 진입한지 얼마 되지 않아 큰 하락을 맞이 하게 됩니다.

이때 약 200포인트 가량 떨어지더라도 증거금만 받쳐준다면 버틸 수 있고 하락 이후 물타기를 통해 다시 반등이 나올 때 빠져나오는 방법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 증거금이 부족했다면 추가 진입도 어려웠을것이고 로스컷에 해당될 경우 강제청산을 당했을 것입니다.

 

이러한 위험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해외옵션에 투자하는 이유는 그만큼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죠.

 

미니 나스닥은 틱가치가 $5이기 때문에 지수 1포인트 변동으로 $20의 가치를 얻게 됩니다.

차트에서 지수가 횡보하는 구간에서도 20포인트 이상은 오르고 내리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를 한화로 따지면 약 52만원입니다.(환율 1300가정)

이렇듯 포지션만 잘 잡으면 50만원 정도는 금방 수익을 낼 수 있는 것이죠.

 

 

모의투자

투자하기 전 반드시 증권사의 모의투자 시스템을 이용해서 연습을 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화면은 키움증권의 미니 나스닥 모의투자 주문 창 입니다.

 

모의투자 호가창

 

 

매수()포지션으로 1계약을 진행할 경우 호가창의 윗 부분에 계약수를 기입하고

오른쪽 매수 포지션의 지정가 부분에서 해당 호가를 더블클릭하면 주문을 넣을 수 있습니다.

 

STOP(MIT)에 계약을 걸어둘 경우 지수가 변동하다가 그 가격에 도달하면 그때 지정가 주문으로 자동 변환되는 시스템입니다. 일종의 예약주문과 같은 방식이며 해당가격에 도달 시 그때 지정가 주문을 넣는 방식이기 때문에 변동이 매우 심할 경우 주문은 들어갔지만 체결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유의하셔야 합니다. 이 기능은 손절 라인을 미리 잡고 시작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문 체결 직후 자신이 생각했던 손절라인에 미리 STOP을 걸어두면 해당 가격에 도달 시 자동으로 청산 주문이 들어가게 되므로 투자금 관리차원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투자 시 주의사항

1.     매수() 진입 시 청산할때에는 반대 포지션에 주문을 넣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최초 매수()으로 진입했으면 청산때에는 매도()에 주문을 걸어야 합니다.

17,797.25에 매수()계약 진입을 했다면 청산때에는 이보다 높은 가격인 17,800.00지점에 매도 주문을 넣어야 합니다.

반대로 매도()으로 진입했다면 계약 청산할 때에는 매수()포지션에 주문을 걸어야 합니다.

처음 하시는 분들은 헷갈릴수 있으므로 반드시 모의투자로 많이 연습해 보세요.

 

2.     시장가 매수/매도 사용 시 유의!

선물은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계약 진입 시 포지션을 잘 선택해서 현재 수익구간인데

아무생각 없이 시장가 매도 혹은 매수 버튼을 눌러서 청산하는 경우

절대 호가창의 현재가로 청산할 수 없습니다.

변동성이 매우 커서 호가창에 뜨지 않는 찰나의 순간에도 청산이 되기 때문에

손해를 크게 볼 수 있므로 주의 바랍니다.

 

 

 

저도 이번에 처음으로 해외선물투자를 진행하게 되었는데 처음 시도하는 입장에서 궁금했던 것들을 요약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혹시 위 내용에서 틀린부분이나 추가했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